벌써 뛰어다녀요?
백일이 된 아이를 데리고 한국에 갔었다. 고국에 계신 부모님들께 아기를 보여드리고 싶어서. 그 뒤로 아이를 데리고 두세 번쯤 더 간 것 같다. 맨 마지막으로 갔을 때는 첫째가 세 살. 아이는 독일에서 겪을 수 없는 밤문화에 (독일은 애고 어른이고 여덟 시면 자는 집이 수두룩하다) 크게 감격한 듯했다. 밤에도 여는 가게가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자꾸 편의점에 가자고 졸랐고, 거만한 표정으로 편의점에서 산 바나나 우유를 입에 물고 한 손은 주머니에 찔러 넣은 채 스웩 넘치게 네온사인이 반짝이는 서울의 밤거리를 활보했다. 기본적으로 정 많은 한국 아주머니들을 사랑스럽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외국에서 아기를 낳아 키우다가 한국에 데려갔을 때 가끔 느꼈던 당황스러움이 있다. 미국 할머니들은 지나가는 유모차를 불러 세우는 일이 별로 없었다. 간혹 있더라도 그건 그들이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너무나 사랑스러운 눈길로 내 아이를 쳐다보며 미소 짓기 때문에, 그 마음에 응답하고자 아기 얼굴을 잠깐 보여주려고 내가 멈추는 경우였다. 독일 할머니들도 마찬가지였다. 조용히 지나치거나, 아이를 보며 미소 지었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덮개로 유모차를 가리고 있는데도 그 덮개를 활짝 열어보는 아주 거침없는 할머니들이 계셔서 이 늙은 엄마를 당황하게 했다. 의례적인 절차로 아기의 개월 수를 확인하게 되면 우리 손자 손녀와의 즐거운 비교가 시작되었다. 이 집 아가는 우리 손녀보다 머리숱은 훨씬 많은데 눈은 작네. (제 눈과 머리숱을 보시지요 할머님.) 이 집 아가는 이가 몇 개나 났나. (위아래로 여섯 개 나서 수유할 때 극한의 공포를 느낍니다 할머님.) 우리 아이가, 우리 손자 손녀가 귀엽고 예뻐서 그러는 걸로 좋게 생각할 수 있는 거였다. 나도 좋은 마음으로 받고 칭찬하면서 함께 공감해주곤 했다. 그러다 엘리베이터를 탔다. 계절이 여름이었으니 아이가 제법 컸을 때다. 우리 첫째는 말띠라 그런가, 망아지처럼 무지하게 뛰어다닌다. 별로 기지도 않고 일찍 걷기 시작했는데, 뜀박질의 기쁨을 알고 나서부터는 짧은 다리로 미친 듯이 질주를 시작했다. 그날도 시차 적응에 실패하고 새벽 댓바람부터 단지 내 놀이터에서 질주하다가, 집에 가자는 재촉에 엘리베이터 안으로 질주해 들어간 참이었다. 우리 아이의 개월 수를 확인하시는 한 할머님. “아이구, 벌써 뛰어다녀요?”하는 질문과 함께 또래 아기를 안고 옆에 서 있는 여성, 즉 따님이나 며느님으로 추정되는 분께서 의문의 옆구리 공격을 당하셨다. 어이쿠. 공격을 당한 옆구리의 소지자 분께서는 민망함과 씁쓸함을 양념 반 후라이드 반처럼 버무린 표정으로 나를 향해 어색하게 웃었다. 그게, 우리 애가 뛰는 데 그분의 옆구리는 왜 공격을 당해야 했을까.벌거벗은 두 인간의 만남
- (홉스의 자연 상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제가 쓴 철학동화 <자연섬 이야기>를 수줍게 추천합니다. <동화 쓰는 엄마> 영업은 계속됩니다. 발그레.)
Two Men Meet, Each Believing the Other to be of Higher Rank.
알몸의 두 사람이 만났는데, 상대가 더 높은 지위일 것으로 믿고는 어색하고 야릇한 웃음을 지으며 서로 공손하게 절을 하고 있는 모습이었던 것이다.
- 자연 상태(State of Nature): 실제 우리 인류 역사의 한 순간이 아니라, 철학자들이 고안해 낸 상상의 시공간이다. 사회나 국가가 어떻게 생겨나는지 설명하기 위해 그 이전의 모습을 상상해 보는 것. 대표적으로 홉스, 로크, 루소가 각각 다른 자연 상태를 가정하고 그 위에서 다른 논리를 펼친다.
내가 루소의 자연 상태에 대한 얘기를 하려는 이유는, 이것이 아까 그 억울하게 맞은 옆구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우리나라 부모님들에게 꼭 소개해 주고 싶은 분. 바로 장 자크 루소 아저씨다.
루소: 인간은 어떻게 불평등해지는가
루소: 인간들이 불행해지는 이유
인간들이 모여 살게 되면 신체적 차이와 능력의 차이가 눈에 확연히 띄게 된다. 사람들 생각에 더 아름답고, 더 강하고, 더 노래를 잘 부르고, 더 춤을 잘 추는 사람들이 눈에 띄고 이들이 인정을 받게 된다. 오징어가 한 마리면 그냥 오징어가 있나 보다 하지만, 여러 마리가 있을 땐 같은 오징어라도 매끈한 오징어가 예뻐 보인달까. 그러면 모두의 마음속에 남보다 돋보이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생겨난다. 이것이 루소가 말하는 ‘허영(amour propre)’인데, 자연 상태에서 순수하게 가졌던 자기애(amour de soi)가 이렇게 사회 안에서 허영심으로 바뀌면서 인간들의 불행이 시작된다. 이게 왜 불행이냐 하면, 이 투쟁은 남들에게 인정을 받기 위한 투쟁이기 때문이다. 허영심은 나에 대한 판단이 나의 내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나와 비교되는 다른 이들, 즉 외부로부터 온다. 내가 스스로 아무리 예쁘다고 생각해 봤자 남이 그렇게 인정하지 않으면 나의 허영심은 채워지지 않는다.따라서 더 사랑받고 더 인정받기 위해서 본래의 나와는 다르게 나를 꾸며야 하므로 나의 내면과 외면이 달라지는 상황, 즉 가면을 쓰는 자기 분열의 상황이 초래된다. 내 약점들은 숨기고, 남들이 좋고 예쁘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나를 꾸미게 된다. 그러다 결국 “나도 내가 누구였는지도 잘 모르게 됐어, 거울에다 지껄여봐 너는 대체 누구니(BTS )” 하게 되는 것.
- 작가: 이진민 / 제7회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 대상 수상
미국서 두 아이를 낳아 현재 독일에서 거주 중. 철학을 일상의 말랑말랑한 언어로 풀어내는 일에 관심이 있습니다.
- 본 글은 이진민 작가님께서 에 올리신 글을 동의하에 옮겨온 것입니다.
- 응원의 메세지나 문의를 아래 댓글창에 남겨주세요. 댓글을 남겨주시면 작가님께 메세지가 직접 전달이 됩니다.
ⓒ 구텐탁코리아(//www.gyrocarpu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