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매월 급여명세서를 받을 때면 총급여와 실수령액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급여명세서에 적혀 있는 자세한 항목을 보고 있으면 어떤 세금을 왜 납부하고 있고, 세금 비율이 얼마나 적용되어 이 같은 실수령액이 계산되는 것인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급여명세서에 명시되어 있는 세금 용어와 그에 대한 세금 비율 책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나의 급여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계산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1. 급여세(Lohnsteuer)
급여세는 매월 급여에서 공제되어 고용주가 세무서에 직접 납부합니다. 소득세는 자신의 가족이나 그 수입의 형태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연간 총소득의 14~45% 사이로 책정되고 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2. 통일세(Solidaritätszuschlag)
독일은 통일 이후 동서 간의 경제적 격차를 메우기 위해 1991년부터 납세의무가 있는 모든 근로자에 대해 근로소득세의 5.5%에 해당하는 통일세를 부과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 이후 연방 정부는 독일 전체 근로자의 약 90%에 대한 통일세 징수를 폐지했으며 현재는 고소득자만 통일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3. 종교세(Kirchensteuer)
독일에서 카톨릭이나 개신교, 유대교와 같이 국가에서 인정하는 종교를 가지고 있다면 종교세를 내야 합니다. 종교세는 교회 건축 및 간호 서비스와 같은 자선 자금 마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소득세의 9%가 부과되고 바덴뷔템베르크와 바이에른주는 8%가 부과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뉴스
독일에 사는 외국인도 누릴 수 있는 세금 공제에 관한 모든 것 – 직장인, 프리랜서 그리고 학생을 위한 주요 공제 혜택 모음
독일에 사는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매년 수천 유로에 달하는 세금을 절약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점점 비싸지는 독일의 생활비는 수입이 늘지...
회사에서 제공받은 차량을 개인용으로 사용하면서 세금을 내지 않는 방법
회사에서 제공받는 회사 차량은 업무 용도 외에도 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현물 혜택으로 간주하여...
4. 건강보험(Krankenversicherung)
독일에서 건강보험료는 공보험 또는 사보험과 관계없이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공보험 가입자는 현재 14.6%의 건강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으며 개인과 회사가 각각 7.3%씩 부담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 보험에는 소득과 관련한 추가 기여금이 부과되는데 2019년부터는 이 추가 부담금도 회사와 개인이 각각 0.6%씩 모두 1.2%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개인이 내는 건강보험료는 총 소득의 7.9%가 됩니다.
5. 연금보험(Rentenversicherung)
독일의 연금 보험은 총소득의 18.6%의 세율이 적용되고 이에 해당하는 세금을 개인과 고용주가 각각 9.3%씩 납부하고 있습니다.
6. 장기 요양보험(Pflegeversicherung)
장기 요양보험료는 총소득의 3.05%가 적용되며 개인과 고용주가 각각 1.525%씩 지불하고 있습니다. 다만 장기요양보험료는 만 23세 이상이고 자녀가 없으면 0.35%의 보험료가 할증되고 Saxony 주에서는 개인과 고용주의 장기 요양보험료 분담금 비율이 같지 않고 개인에게 더 높게 책정됩니다.
7. 실업보험(Arbeitslosenversicherung)
실업 보험은 실업 상태에 있는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의무 보험입니다. 실업보험에 해당하는 전체 세율 2.4% 중 개인은 급여의 1.2%만 납부하고 나머지 1.2%는 고용주가 지불합니다. 그러나 공무원과 군인, 미니잡 근로자는 실업보험 납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한편 사회보장 기여금(건강, 연금, 요양, 실업 보험)은 소득이 높을수록 증가하지만, 소득에 따른 사회보장 기여금의 액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금액이 오르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고소득자는 연방 정부가 정한 사회보장 기여금의 최대한도 까지만 지불하게 됩니다.
작성: sugi
ⓒ 구텐탁코리아(//www.gyrocarpu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